[406호 우리 시대 종교 사상가들과의 만남 시즌2]
윌리엄 데스몬드(William James Desmond, 1951-)는 아일랜드 태생 철학자로, 사이론적(metaxological) 사유라는 독특한 방법을 통해 형이상학·종교철학·미학·윤리학 등 다방면에서 독창적인 철학을 내놓은 우리 시대의 사상가다. 아일랜드 코크 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학위 취득 후 아일랜드 코크대와 메이누스대에서 가르치다가 미국 메릴랜드 소재 로욜라대에서 10년 넘게 교수로 재직했다. 이 시기 미국 헤겔학회 회장과 미국 형이상학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94년부터 2016년까지 벨기에 루뱅 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일했으며, 은퇴 후 같은 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미국 빌라노바 대학교 철학과 데이비드 쿡 기금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은 《존재와 사이》, 《신과 사이》, 《윤리와 사이》, 《예술과 절대: 헤겔 미학 연구》, 《헤겔의 신: 위조된 분신》, 《신의 선물: 기본값으로서의 무신론에서 계시의 놀라움으로》 등이 있다. 이 인터뷰에서 데스몬드는 자신의 독특한 사이론과 형이상학에 대한 해명, 현대철학을 이해하는 여러 방식, 사랑과 악에 대한 사유, 전쟁과 폭력으로 얼룩진 오늘날 시대에서 선과 평화에 관한 성찰 등을 나눈다. 인터뷰는 2월 29일 윌리엄 데스몬드 교수의 자택에서 이루어졌으며, 루뱅대 철학과에서 박사과정 중인 김광철 선생이 사진 촬영 등 여러 도움을 주었다.
관련기사
- 유럽의 한복판에서 ‘종교적’ 철학자들을 만나다
- 신앙과 전례의 역동성을 성찰하는 개혁파 철학자 ― 칼빈 대학교 제임스 K. A. 스미스 교수
- 종교적 체험과 생태적 삶의 의미를 드러내는 철학자 — 포덤 대학교 크리스티나 그슈반트너 교수
- 내재성 안에서 신앙과 사랑을 말하기 ― 남아공 노스웨스트대(포체스트롬) 유리 스흐레이브르스 특임교수
- 칼뱅과 리쾨르를 연결하며 신앙과 사회를 진단한다 ― 올리비에 아벨 몽펠리에 개신교 신학대학교 명예교수
- 레비나스와 토라를 동시대적으로 전유하는 유대교 철학자 ― 카트린 샬리에 파리 낭테르대 철학과 명예교수
- 이콘의 현상학을 향하여 ― 스테파니 럼프자 소르본대 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