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8호 예술, 구원을 묻다]

내가 믿습니다. 믿음 없는 나를 도와주십시오. (막 9:24,  이하 새번역)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불확실함을 받아들이는 용기입니다.1)

작년 이맘때였을 겁니다. 책상 위에 한동안 놓여있던 《따름, 그 회복의 여정》을 ‘집어 들고 읽고’ 있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경험한 ‘톨레 레게’의 은혜가 밴쿠버의 방황하는 영혼에게도 임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만난 구절은 공교롭게도 “베드로는 멀찍이 떨어져서 뒤따라갔다”(눅 22:54)였습니다. 멀찍이. 헬라어로 ‘마크로덴’, 시간적·공간적 길이를 뜻하는 ‘메코스’에서 파생된 부사라 했습니다. 헬라어에 능통한 저자는 이 ‘멀찍이’라는 공간 부사에 “베드로의 두려움, 불안, 의심 그리고 형용하기 어려운 부끄러움이 담겨”있다고 설명하더군요(143쪽). 그 조곤조곤한 음성이 한순간 마음을 훅 치고 들어왔습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마음에 들끓는 의심과 씨름하던 시절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날 밤 겟세마네 동산에서 멀찍이 거리를 둔 채로 예수님을 따라가면서 “두려움, 불안, 의심, 그리고 형용하기 어려운 부끄러움”을 느꼈을 베드로의 모습은 영락없이 저의 모습이기도 했습니다.

다음 장에는 구레네 시몬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저자는 이번엔 ‘뒤에서’라는 뜻을 가진 부사 ‘오피스덴’에 주목했습니다. 비록 로마 군병들에 의해 억지로 십자가를 지게 되었지만, 감히 예수님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그분 ‘뒤에서’ 십자가를 지고 따라가던 시몬의 위치를 눈여겨본 겁니다(눅 23:26). 그토록 결정적인 순간, ‘멀찍이’ 거리를 둔 수제자 시몬 베드로 대신 “예수님 바로 ‘뒤에서 친밀히 따르는 제자의 위치’”를 지킨 것은, 역설적으로 예수님을 만난 적도 없던 또 한 명의 시몬이었습니다(168쪽). 그날 책을 읽던 저에게 4세기 성인이 경험했던 일과 같은 즉각적인 회심의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대신 제 안에는 시몬 베드로의 ‘마크로덴’과 또 다른 시몬의 ‘오피스덴’이 여전히 엎치락뒤치락 요란하게 싸움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상실과 절망, 의심과 회의의 벽에 맞닥뜨려 헤맬 때가 있습니다. ‘오피스덴’의 자리로 나아가야 함을 알면서도 ‘마크로덴’에서 머뭇거리면서, 그런 자기 모습에 실망하는 순간들 말입니다. 못내 부끄러워 내 안의 ‘마크로덴’을 숨기고 ‘오피스덴’을 위장한 순간도 적지 않지요. 어쩌면 복음서가 베드로의 의심과 실패를 유독 자주 다루는 이유도, 그런 순간이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찾아온다고 말해주려는 의도인지 모르겠습니다. 예수님의 열혈 제자도 그랬다면, 누가 예외가 될 수 있겠냐고 말이지요. 심지어 수천 년 전, 경건한 믿음의 삶을 갈구했던 시편 기자도 이렇게 고백하지 않던가요.

하나님은, 마음이 정직한 사람과 마음이 정결한 사람에게 선을 베푸시는 분이건만, 나는 그 확신을 잃고 넘어질 뻔했구나. 그 믿음을 버리고 미끄러질 뻔했구나. (시 73:1-2)

‘의심’이 아닌 의심을 통해 확인되는 ‘믿음’

의심과 회의는 실로 시대를 막론하고 신앙하는 이들을 스토킹하는 문제인가 봅니다. 17세기 이탈리아 화가 카라바조는 믿음의 삶에서 피할 수 없는 이 의심의 순간을 절묘하게 포착합니다. 바로 〈의심하는 도마〉(1602)라는 유명한 작품입니다. 카라바조 특유의 강렬한 음영 대비, 즉 키아로스쿠로2) 기법을 기가 막히게 보여주고 있지요. 무대조명처럼 극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빛의 효과뿐 아니라, 인물들의 생생한 표정과 순간 정지한 듯 보이는 동작, 다이내믹한 구도는 마치 연극의 한 장면을 보는 것 같습니다. 카라바조가 이토록 생생하게 묘사하는 문제의 이 장면은 그동안 우리가 이해하던 방식과는 조금 다른 시선으로 도마의 일화를 바라보게 합니다. 도마의 ‘의심’이 아닌, 그 의심을 통해 확인되는 ‘믿음’에 빛을 비추는 겁니다.

〈의심하는 도마〉
〈의심하는 도마〉

내가 믿습니다. 믿음 없는 나를 도와주십시오. (막 9:24,  이하 새번역)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