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4호 나의 순정만화 순례] 박희정: 《호텔 아프리카》

‘이상적인 가족을 갖지 못해서’ 취약한 것이 아니라 누구나 취약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하고, 연대하고, 유대할 수 있는 사회를 상상하고 실천해내야 한다는 이야기를 어떻게 제대로 나눌 수 있을까?
― 김순남, 《가족을 구성할 권리》(오월의봄), 7쪽.

남자 두 명과 여자 한 명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이야기에서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관계 구도는? 아마 주인공 남주와 서브 남주 사이에 둘의 사랑을 받는 여자 주인공이 포진한 삼각관계일 거다. 지난 작품 《별빛속에》에서 보았듯 흔한 구도. 오늘 이 작품에도 드레드 헤어를 한 흑인 남자와 구불구불한 금발의 백인 남자 그리고 여자 주인공이 한 명 나온다. 기존에 흔히 보던 순정만화 여주인공 비주얼이 아닌 점이 좀 의심스럽지만, 아무튼 나온다. 쇼트커트 스타일에 민소매 크롭트톱을 입고 첫 장면부터 욕을 날리며 찡그린 표정으로 등장하는 백인 여자 주인공이. 셋은 함께 ‘영화 만들기’라는 꿈을 꾸며 의기투합한 20대 중반의 (실은 비정규직 청년들인) 엘비스, 에드, 쥴라이다.

1990년대 초중반 즈음 뉴욕에 사는 이 세 명은 같은 대학에서 우연히 만나 졸업 후까지 관계를 이어가는 끈끈한 사이다. 이들 세 명의 이야기에 엘비스의 유년 시절 이야기가 교차하는데, 유년의 배경이 되는 장소가 바로 이 작품 제목이기도 한 ‘호텔 아프리카’. 미혼모로 흑백 혼혈 엘비스를 낳고 1970년대 유타주에서 ‘호텔 아프리카’를 운영한 어머니 아델과 외할머니 마지, 호텔에 장기간 투숙했던 인디언 청년 지요, 호텔을 드나들던 마을 손님들과 투숙객에 관한 이야기를 엘비스가 회상하는 형식의 옴니버스 만화 《호텔 아프리카》는 여러 면에서 파격이었다.

이하 사진: 필자 제공
이하 사진: 필자 제공

‘이상적인 가족을 갖지 못해서’ 취약한 것이 아니라 누구나 취약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하고, 연대하고, 유대할 수 있는 사회를 상상하고 실천해내야 한다는 이야기를 어떻게 제대로 나눌 수 있을까?
― 김순남, 《가족을 구성할 권리》(오월의봄), 7쪽.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